
공모주, 주식 하시면 다들 한 번쯤은 들어보셨을텐데요. 유명한 공모주 외에도 지금 이 순간에도 공모주에 대해서 공모하고 계신다는 것 알고 계신가요?
오늘은 좋은 공모주를 찾기 위한 방법과, 어떻게 하면 성공적으로 공모주에 투자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공모주도 좋은 종목을 잘 찾아서 투자하면 꽤나 용돈벌이가 되기 때문에 이번 포스팅을 통해서 많은 정보를 얻어가셨으면 좋겠습니다.
공모주란?
공모주는 기업이 처음으로 주식을 일반 투자자에게 공개하여 발행하는 주식을 말합니다.
이는 기업이 자금을 조달하고, 일반 투자자들이 기업의 주식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공모주 구입 방법은?
일반적으로 공모주는 한정된 수량을 일정 기간 내에 사람들에게 분배되며, 사람들은 경쟁을 통해 공모주에 청약(내가 이 주식을 사겠다)하고 청약 발표일에 경쟁률과 내가 청약한 금액에 따라 주식을 살 수 있는 권리를 획득하게 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공모주는 각 공모주 별 주간사가 정해져있고, 각 주간사의 증권어플을 통해서 청약이 가능합니다. 포스팅 하단에 공모주 청약 일정과 주간사 정보를 확인하는 방법을 작성하였으니, 해당 내용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여기서 한 가지 팁은 공모주는 각 종목마다 증권사가 다르고 또 어떤 것을 골라야 유리한지도 상황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최대한 많은 증권사의 계좌를 만들어 두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추가로, 청약하려는 주식 금액의 절반 만큼의 증거금이 있어야 청약할 수 있는데요.
예를 들어 공모가가 1,000원이고 10주를 청약하고 싶다면 1000원 * 10주 = 10,000원의 절반인 5,000원을 증거금으로 넣어야 공모주에 청약이 가능합니다.
공모주 일정 확인하기
공모주 일정은 여러 사이트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38 커뮤니케이션에서 확인하는 것을 좋아하는데요.
공모주 일정 뿐 아니라, 주간사 그리고 기업의 분석 (재무상태표 등)까지도 상세하게 확인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38 커뮤니케이션 공모주 일정 확인하기 (클릭)

공모주 비례 배정/균등 배정 차이점, 어떤 것을 골라야 하나?
공모주는 비례배정과 균등배정으로 나뉘는데요, 이 두가지의 차이점에 대해서도 짚고 넘어가보겠습니다.
비례 배정
투자한 돈에 비례해서 배정을 받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돈을 많이 넣으면 넣을 수록 더 많은 주식의 수를 배정받게 됩니다.
균등 배정
신청한 사람의 수에 따라서 균등하게 주식을 배정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최소한의 청약 수량만 신청하면 경쟁률에 따라 1/n (엔분의일)을 통해 주식을 배정받습니다.
내가 공모주에 투자하고 싶은데,
- 돈이 별로 없다면 균등 배정으로 신청하는 것이 유리하고
- 나는 돈에 여유가 있고 최대한 많은 양의 주식을 배정받고 싶다면 비례배정으로 청약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공모주 주간사가 여러군데 일 경우
보통 주간사는 여러 증권사를 통해 진행됩니다. 이 경우 어떤 주간사를 골라야 할지 고민이 되는데요.
주간사별로 배정받은 수량이 다르기 때문에 눈치 게임을 해야합니다.
예를 들어 A 증권사에서는 공모주 100개가 있고 1명만 신청했다면, 이 1명이 100개를 다 받겠죠?
반대로, B 증권사에서는 공모주 10,000개가 있고 10,000명이 신청했다면 1명당 1개를 받겠죠?
이렇게 배정 수량이 많은 증권사라고 해서 반드시 좋은 것은 아니기 때문에 개인의 판단에 따라서 경쟁률이 낮을 것 같다고 판단되는 증권사를 고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좋은 공모주는 보통 실제 시장에서의 평가보다 더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기 때문에, 상장일이 되면 상한가 까지도 올라가는 경우를 볼 수 있는데요. 이러한 좋은 공모주를 어떻게 하면 찾는지도 알아보겠습니다.
공모주 청약 팁
희망 공모가 확인하기
좋은 공모주를 고르기 위해 희망 공모가를 확인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희망 공모가가 높을수록 공모주를 받을 확률이 올라가고, 희망 공모가가 높은 비율이 많을수록 그 종목은 매력적인 종목 즉 좋은 공모주라고 사람들이 알려주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상장 후 유통 가능한 물량 확인하기
공모주라고 해서 반드시 상장 이후에 따상 따따상 등의 상황이 이루어지지 않고, 반대로 주가가 떨어지는 경우도 꽤 많이 존재하는데요.
대형 주주의 상장 직후에 유통이 가능한 물량이 높을 수록 해당 주주들이 주식을 냅다 팔아버리는 경우가 존재합니다. 이 경우에는 매수물량보다 매도물량이 더 많이 나오기 때문에 주가가 하락세를 보이기 쉽습니다.

반대로, 대형 주주들의 의무적으로 보유해야하는 주식의 수가 높다면(바로 팔지 못한다면), 그리고 사람들이 많이 사고싶어하는 매력적인 종목이라면 팔 수 있는 주식은 한계가 있지만 사고자 하는 사람들은 많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주가가 올라가게 됩니다.
또한 해당 종목이 ETF 혹은 각종 지수에 편입되며 굳이 그 종목을 사람들이 매수하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ETF, 지수 등의 매수 주문으로 인해 매수 주문이 증가하게 됩니다.
주식 종목 분석을 위한 기초 용어를 모르겠다면 다음 포스팅을 통해 알아보세요!
[주식기본용어] 주식기초용어 5분만에 쉽게 알아보기! ROE, ROA, PBR, PER은 뭘까요?
주식 기초 용어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리빙인모던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주식을 시작하기에 앞서서 기업의 가치평가(밸류에이션)의 기본이 되는 가장 기본적인 용어들에 대해서 알아보는
modernliving.tistory.com
정리하며
굳이 주식을 찾으러 다니지 말고, 좋은 공모주만 잘 찾아도 꽤 용돈 벌이가 쏠쏠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공모주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다음에는 공모주 청약 일정과 함께 여러분들과 같이 공모주에 투자하는 시간도 가져보겠습니다.
또한, 공모주에 청약할 때 사용하는 어플들의 사용방법도 익숙치 않으신 분들도 계실 것 같아 어플 사용 방법 또한 포스팅으로 작성해보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재테크 >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기본용어] 주식 기초 용어 5분만에 쉽게 알아보기 ROE, ROA, PBR, PER은 뭘까요? (주식 종목 분석 하는 법 주식 용어 정리) (0) | 2023.11.12 |
---|